정부인증 신기술 및 신자재 홍보
이 정보는 업체에서 등록한 정보입니다. 문의사항은 각 업체로 연락 바랍니다.
여과재 연속세척형 처리장치 등을 이용한 여과와 역세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기술의 명칭, 공종, 적용분야, IMCD선정 신기술여부를 보여주는 표입니다.
명칭 |
여과재 연속세척형 처리장치 등을 이용한 여과와 역세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기술 |
공종 |
토목 > 우수공 > 초기우수처리시설
|
적용분야 |
공법
|
IMCD 선정 신기술 |
미선정
|
인천지역구분 |
인천외지역
|
-
이미지_1
인증현황
여과재 연속세척형 처리장치 등을 이용한 여과와 역세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기술의 인증현황을 기술 구분, 지정번호, 인증기관, 보호기간으로 나누어 정리한 표
기술 구분 |
지정 번호 |
인증 기관 |
보호 기간 |
NET(건설신기술)제품
|
제914호 |
국토교통부
|
21-04-19 ~ 29-04-18
|
자재·공법 내용
• 여과재의 조기폐색 방지를 위해 시설 작동(운전) 후 여과재를 역세척하는 기존의 단계별 복합공정을 여과역세 동시실시의 단일공정으로 개량한 기술임.
• 운전 중 여과재의 역세를 통해 요구되는 여과능을 유지시키는 여과역세 동시처리장치(요소기술 I)와 물의 작은 유동에도 쉽게 부유하는 특성의 저비중 고강도 다공질 여과재(요소기술 II), 전처리조에 설치하여 오염원의 유입부하량을 38.8% 감소시키는 3단전단유닛(요소기술 III)으로 구성된 여과역세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기술임.
• 장점:
① 기존기술의 역세척설비【공기세척설비/수세척설비/여과조 정체수배출설비/역세척폐수 배출설비/역세수 이송설비 및 관련 전기설비】를 삭제하고, 무동력장치【여과역세 동시처리장치】로 대체, 시공이 간단하여 경제성 확보 및 유지관리 용이.
② 여과조 면적의 1.9배에 해당하는 기존기술의 역세수 처리수조를 삭제하여 부지면적을 52.86% 축소하여 공공성 증대.
③ 환경부하량을 감소시킨 친환경성으로 혁신제품 인증을 받음.
자재·공법 범위
•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한 모든 사업, 수질오염 오염총량관리 대상 지역 내 개발사업, 상수원 보호구역 내 기존 도로, 환경부 장관이 고시한 비점오염 관리대책 지역, 전략 및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사업 중 비점오염저감시설 협의 사업에 대해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가 법적으로 의무화되어있어 꾸준한 시장요구가 이뤄지고 있음.
•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는 모든 사업 :
- 국내 대규모 택지사업 (250,000㎡이상)
- 산업단지조성 사업 (150,000㎡이상)
- 도로신설 사업 (2km이상)
- 항만시설 사업 등
• 수질오염 오염총량관리 대상 지역 내 개발사업
• 상수원 보호구역 내 기존 도로
• 환경부 장관이 고시한 비점오염 관리대책 지역
• 환경영향평가를 제외한 전략 및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사업 중 비점오염저감시설 협의 사업
원가절감 및 품질상향
• 안전성 : 동력설비 대폭 삭제 및 관련 전기설비 삭제에 따른 시공 간소화로 시공 안정성이 증대되고 물기가 잔존하는 지하구조물에서 누전 등 위험요인을 없애 운전중 안전성이 증대됨.
• 시공성 : 여과조 면적의 1.9배에 해당하는 역세수 처리수조를 삭제하여 시설부지를 52.86% 축소하고, 역세척 동력설비를 삭제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이 증대됨.
• 내구성 : 구조계산서를 통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, 내부설비는 STS 등 내식성 재질로 구성하였음. 여과재의 압축강도는 부상식 여과재의 4배 점토팽창형 여과재의 2배로서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높아 여과재의 역세척시 파손 등 손실을 최소화하였음.
• 유지관리성 : 동력설비 대폭 삭제에 따른 유지관리 편리성이 증대됨. 구체적으로 전력비는 기존기술 대비 81.62% 감소, 역세수 처리수조 삭제에 따른 정체수 발생량 감소로 하수도비는 55.42% 감소, 여과재 장기사용에 따른 여과재 교체비는 50% 감소, 유지관리 항목 축소로 현장점검비는 30.62% 감소됨.
20년 제품수명 기준 LCC 비교 분석 결과, 기존기술 대비 총원가 38.51% 감소하였음.『여기서 기존기술이란【환경부 비점 매뉴얼】에서 필수사항으로 적시한 역세척 설비와 역세수 처리수조를 구비한 상향류식 여과처리시설로서 물가 유통지에 등록된 비점오염저감 기술을 의미함』
• 친환경성 : 환경부하량을 비교하면, 정체수 발생량 감소에 따른 CO2 배출량은 기존기술 대비 55.4%, 역세척공정 삭제에 따른 전기사용량 감소로 CO2 배출량은 기존기술 대비 44.0%, 동력설비의 제조 및 폐기에 따른 CO2 배출량은 기존기술 대비 85.3% 감소됨.
시공 실적
여과재 연속세척형 처리장치 등을 이용한 여과와 역세를 동시에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기술의 시공 실적을 번호, 공사명, 발주자, 실적금(백만원), 착공일, 준공일로 나누어 정리한 표
번호 |
공사명 |
발주자 |
실적금(백만원) |
착공일 |
준공일 |
1 |
상번천리 |
조달청 |
89 |
24-08-05 |
24-09-04 |
2 |
내포신도시 |
한국토지주택공사 |
92 |
23-08-21 |
23-11-30 |
3 |
DL Chemical Utility Center for APAO Project 설치공사 |
DL Chemical |
98 |
21-11-15 |
22-12-31- |
4 |
Yeosu 40KTA APAOProject 설치공사 |
디렉스폴리머 |
98 |
21-11-15 |
22-12-31- |
목록